설계 도면을 그릴때 실사이즈를 조정하면 안된다. 그래서 이런 함수를 사용해 실제 스케일을 건들지않고 확대 도면을 용지에 맞춰 출력할 수 있도록 작업한다.

 

위 두 함수를 잘 사용할 경우 도면을 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 작업은 아래 순서에 맞춰 진행하면 큰 도움이 된다.

1. 건축도면을 확실히 정리한다. 레이어를 설정하고, 작업해야하는 도면을 그리면서 레이어를 정확히 나눈다.(이 작업이 제대로 진행된 경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2. (출력용지 폼의) 스케일 조정한다.

3. 상세 도면 작업을 할때 기준점을 잡아 추가 상세 도면을 그릴때 문제를 막는다.(기존 도면에 출력되지 않는 레이어를 설명해 기준점을 지정해준다.)

4. 우리가 작업할 내용을 위의 방법을 따라 똑같이 진행해 덮어준다.

 

XClip

1.출력용지 폼에 맞춰 pl(ine)을 그려준다.

2.우선 제공받은 출력용지 폼을 원하는 위치에 co(py)한다.

3.sc(ale) 로 원하는 비율로 조정한다.

4.상세 도면이 필요한 부분을 비율조정한 폼에 맞춘다.

5. xc(lip) 입력 후 폼에 맞춘 도면을 클릭한다.

6. n(ew) 클릭 후 (poline)s(elct) 입력 엔터해 준다.

 

해당 작업은 블럭처리를 하는 것이지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는게 아니다. 그래서 절대로 폭파(explode)하면 안된다. 폭파할 경우 XClip으로 잘라둔 부분이 다시 나타나면서 모든 부분이 나타난다.

 

wipeout

폴리선을 이용해 출력하고싶지 않은 부분을 가려주는 기능을 한다.

1. 가리고 싶은 구간에 맞춰 닫힌 폴리선을 그린다. (도형, pl 모두 가능)

2. wipeout 엔터

3. (f 엔터 / wipeout의 테두리 존재 여부 선택 y,n)

4. p 엔터 닫힌 폴리선 선택

5. 폴리선 삭제 여부 선택 y,n

또는 폴리선을 만들어두지 않고 바로 wipeout 명령어를 불러와 실행할 수도 있다.

 

 

+ Recent posts